“I was determined that the Korean War and the 17,000 Australians who served in the war would never be forgotten.”
Rear Admiral Ian Crawford, AO, AM (Mil.), RAN (Retired), Royal Australian Navy veteran
“한국전쟁, 그리고 17,000명의 호주 참전용사들이 결코 잊혀져서는 안 된다는 다짐을 했습니다.”
이안 크로포드(Ian Crawford), 호주 예비역 해군 제독
THE MACKENZIE FAMILY
맥켄지 가문
Dedicated to improving the lives of Koreans from the early 1900s through to the post-war 1950s, two generations of the Mackenzie family stand out for their contribution in the fields of health services and health education. Their remarkable legacy lives on today.
The Reverend James Noble Mackenzie arrived in Korea as a Presbyterian missionary in 1910. There he met his future wife, Mary Jane Kelly, who was the first graduate from the Presbyterian Deaconess Training Institute in Melbourne (later Rolland House) to be sent to Korea as a missiona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Victoria.
The Mackenzies devoted much of their energy to caring for leprosy patients in South Gyongsang province. Despite having no medical training, Reverend Mackenzie — known as Reverend Plum Blossom to his Korean friends — was determin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survival rates of his patients through proper care and treatment. By the time he retired from the mission in 1939, leprosy was no longer the dreaded fatal disease it had previously been.
Deaconess Mary Jane was an outstanding woman in her own right, juggling her roles as mother, evangelist and teacher. She took charge of an infant welfare and nutrition program and ran a home for the healthy children of leprosy patients who were receiving treatment at Sangaewon.
1900년대 초부터 한국전쟁이 끝난 1950년대까지, 2 대에 걸친 맥켄지 가족은 한국인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 헌신하였다. 한국 보건 서비스 및 보건 교육에 있어서 이들의 기여는 독보적이며 그 유산은 오늘날까지 살아 숨 쉬고 있다.
제임스 노블 맥켄지(James Noble Mackenzie)는 호주 장로교 선교사로 1910년 한국 땅을 밟았다. 그는 한국에서 메리 제인 켈리(Mary Jane Kelly) 선교사를 만나 결혼했다. 메리는 멜버른의 장로교 집사 교육원(Presbyterian Deaconess Training Institute, 이후 롤랜드 하우스(Rolland House)로 개명)의 첫 졸업생으로, 빅토리아 장로교회의 선교사로 한국에 왔다.
맥켄지 부부는 경상남도에서 한센병 환자를 돌보는 데 헌신했다. 정식 의료 교육을 받지는 않았지만 한국인들에게 ‘호주 매 씨 목사(Reverend Plum Blossom)’로 불려진 맥켄지 선교사는 제대로 된 보살핌과 치료를 통해 한센병 환자들의 삶의 질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그가 선교활동에서 은퇴한 1939년에는 한센병은 과거와는 달리 더 이상 치명적인 질병이 아니었다.
그의 부인 메리 또한 어머니, 선교사, 또한 선생님이라는 세 개의 역할을 훌륭히 해낸 독보적인 여성이었다. 신생아 복지 및 영양 프로그램을 맡았고 상애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한센병 부모의 자녀들을 위한 집을 운영했다.
The Mackenzies had five children, all born in Fusan (now Busan): Helen, Catherine, Lucy, James and Sheila. Four of the five were inspired by their parents’ work to study medicine, nursing and midwifery, and two — Helen and Catherine — returned to Korea in 1952 to follow their parents’ missionary path. Responding to the desperate need for medical services in post-war Korea, particularly for women and their babies, the sisters rented space in a former kindergarten in Busan to establish the Ilsin Women’s Hospital. In addition to providing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services, Helen and Catherine were committed to delivering obstetric training for junior doctors, nurses and midwives, and the first five midwives began their training at the hospital even before it officially opened.
Initially designed for just 15 in-patients, Ilsin Women’s Hospital has steadily grown over the decades. Now, almost 70 years on, it has delivered over 297,000 babies, trained a third of all midwives in Korea,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reduction of maternal and infant mortality rates and has officially been dubbed the ‘Baby Friendly Hospital’.
Thanks to Dr Hea-Jin Park for original text and images.
맥켄지 부부는 헬렌(Helen), 캐서린(Catherine), 루시(Lucy), 제임스(James), 실라(Sheila) 이렇게 다섯 명의 자녀를 뒀는데 모두 부산에서 태어났다. 네 명의 자녀들은 부모님의 영향을 받아 의사, 간호사, 조산사가 되었고 이 중 헬렌과 캐서린은 1952년 한국으로 돌아와 부모님과 같은 선교의 길을 걸었다. 한국은 한국전쟁 이후 특히 여성과 신생아를 위한 의료 서비스가 극도로 부족한 상황이었다. 맥켄지 자매는 부산에서 한때 유치원이었던 자리를 빌려 일신부인병원을 세웠다.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의료 서비스 외에도 이들 자매는 수련의, 간호사, 조산사를 위한 산과 교육을 제공하기도 했는데, 다섯 명의 조산사는 일신부인병원이 공식적으로 개원하기 전부터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개원 당시 15개의 병상 규모였던 일신부인병원은 이후 지속적으로 규모가 커졌다. 70년이 지난 현재는 297,000명의 신생아가 출생한 병원이자 한국 전체 조산사의 삼분의 일을 교육한 병원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산모 및 신생아 사망률을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해 공식적으로 ‘신생아 친화적인 병원’으로 불리고 있다.
글을 제공해 주신 박혜진(Hea-Jin Park)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Despite having no medical training, Reverend Mackenzie — known as Reverend Plum Blossom to his Korean friends — was determin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survival rates of his patients.
정식 의료 교육을 받지는 않았지만 한국인들에게 ‘호주 매 씨 목사(Reverend Plum Blossom)’로 불려진 맥켄지 선교사는 한센병 환자들의 삶의 질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Dr. CHARLES McLAREN
찰스 맥라렌
Dr Charles McLaren and his wife Jessie lived and worked in Korea for over 30 years, leaving a deep and abiding legacy in both Korea and Australia. Charles was a medical missionary with the Presbyterian Church, practicing in various parts of Korea at a time when the entire Korean peninsula was under Japanese administration. He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practicing western psychiatrist in Korea.
From 1911 to 1923 Charles worked at Paton Memorial Hospital in Chinju, and from 1923 onwards he taught at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in Seoul. Jessie, who had a Masters degree from Melbourne University, supported Charles’ work and took a strong interest in advancing the status of Korean women. In her early days in Korea, she established a kindergarten and a night school for women; she also taught history and Bible studies at Ewha College.
In addition to their own daughter, Rachel, the couple raised three Korean girls who Rachel firmly believed for years were her real sisters.
찰스 맥라렌 박사와 부인 제시(Jessie) 여사는 30년 넘게 한국에 거주하며 일하면서 한국과 호주 양국에 깊고 지속적인 유산을 남겼다. 맥라렌 박사는 장로교 의료선교사로, 한반도 전역이 일제 통치하에 있었을 당시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 일했다. 한국 최초의 서구 출신 현역 정신과 의사로도 알려져 있다.
1911년부터 1923년까지 맥라렌 박사는 진주 배돈병원에서 근무하였으며, 1923년 이후에는 서울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한편 멜버른대학교(Melbourne University)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제시 여사는 남편의 업무를 도우면서 한국 여성 권익 증진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한국에 정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무렵 제시 여사는 유치원과 여성 야간학교를 설립하였으며 이화전문학교에서 역사와 성경을 가르쳤다.
맥라렌 부부는 친딸 레이첼(Rachel) 외에도 세 명의 한국 여아를 입양해 키웠다. 레이첼은 수년 동안 이 아이들이 당연히 자신의 친자매인 줄로 알았다고 한다.
In 1941, with war imminent, Jessie and Rachel returned to Australia. Charles was imprisoned in Korea and Japan, but was repatriated in 1942 to re-join Jessie and Rachel in Melbourne and establish his psychiatric practice.
For the McLarens’ grandson, Doug Humann, his grandparents’ affinity with Korea was evident from an early age. He remembers their home in Kew was filled with furniture and books from Korea and images of the Korean landscape they loved so dearly. As a child he grew up on stories of Charles’ medical work in Korea: visiting rural communities, setting up medical centres and attending ‘paupers and princes’ alike.
Doug also has fond memories of the fellowship meetings held by the McLarens in their home in Kew on Saturday afternoons, attended by Korean missionaries and their friends. In 2014, when the McLarens’ house was vacated, Korean friends from near and far gathered there to celebrate and pay their respects, their presence a clear expression of the enduring connection between the McLarens and Korea.
1941년, 전쟁이 임박하자 제시 여사와 레이첼은 호주로 돌아갔다. 맥라렌 박사는 한국과 일본에서 투옥되었으나, 1942년 호주로 송환되어 멜버른에서 아내와 딸과 재회하고 정신과 의사로 활동했다.
맥라렌 부부의 손자인 더그 휴만(Doug Humann)은 한국에 대한 조부모님의 애정을 어릴 적부터 분명히 느낄 수 있었다. 더그는 큐에 위치한 맥라렌 부부의 집에는 한국으로부터 온 가구와 책, 그리고 이들이 너무나 사랑했던 한국의 경치가 담긴 사진이 가득했다고 회상한다. 그는 어렸을 적 할아버지가 한국에서 의사로 활동하던 시절의 이야기, 즉 시골 마을을 방문하고, 의료 시설을 설립하며, 부유하든 가난하든 누구나 치료해주었던 이야기를 들으며 자랐다. 토요일 오후마다 큐의 집에서 조부모님이 한국 선교사들 및 이들의 친구들을 초대하여 친목 모임을 열었던 행복한 기억도 간직하고 있다. 2014년, 맥라렌 가족이 이 집을 떠나게 되었을 때, 각지에서 온 한국 친구들이 이 곳에 모여 맥라렌 부부를 기리며 경의를 표했다. 이 모습이야말로 맥라렌 부부와 한국 간의 오랜 인연을 보여주는 증표이다.
*역자 주: 역자가 번역한 제목으로, 공식 출판된 국문본은 없음, 원제: A Doctor in Korea: The Story of Charles McLaren, M. D.)
Charles and Jessie McLaren lived and worked in Korea for over 30 years, leaving a deep and abiding legacy in both Korea and Australia.
찰스 맥라렌 박사와 부인 제시 여사는 30년 넘게 한국에 거주하며 일하면서 한국과 호주 양국에 깊고 지속적인 유산을 남겼다.
AUSTRALIAN WOMEN VOLUNTEERS
호주 여성 자원봉사자
Many years befor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Australia and the Republic of South Korea was officially launched, many Australian women — as well as men — were working as volunteers in a range of social welfare, church, education and health-related activities in Korea. They included Belle Menzies, an aunt of former Australian Prime Minister Sir Robert Menzies, who spent 33 years in Korea as a volunteer.
This was no temporary social campaign: for many of these women volunteers, their work represented a long-term commitment to improving the lives of the poor in Korea. The earliest of these volunteers were mostly members of the Australian Student Christian Movement: young, well-educated, middle-class graduates, many of whom dedicated their lives, often in difficult conditions and at the cost of their own health, to working in the areas of education and health, introducing new ideologies, methods and technologies to poor communities and establishing a number of schools, hospitals and health centres.
호주와 대한민국의 공식 외교 관계가 수립되기 훨씬 이전부터 호주의 많은 여성들은 남성 못지않게 사회복지, 교회, 교육 및 보건 관련 분야에서 자원봉사자로 활동했다. 그 중에는 로버트 멘지스(Robert Menzies) 호주 전 총리의 고모이자 한국에서 33년 동안 선교활동을 한 벨레 멘지스(Belle Menzies)도 있었다.
이러한 여성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은 단기에 그치는 사회적 운동이 아닌, 한국 빈곤층의 삶을 개선시키기 위한 오랜 헌신이었다. 특히 초기에는 대부분의 자원봉사자가 호주기독학생운동(Australian Student Christian Movement)의 일원으로, 대학을 졸업한 중산층 출신의 젊은 고학력 여성들이었다. 이들은 척박한 환경에서 때론 자신의 건강을 해쳐가면서 한국의 빈곤층을 위한 교육과 보건 개선에 힘썼고 새로운 사상과 기술을 도입하며 많은 학교, 병원, 보건 센터를 설립했다.
One of the first women volunteers was Mary Davies (1853-1941), who established the Euishin Girls’ School in Masan, the first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region, and founded the Presbyterian Women’s Missionary Union which sent about 40 young women to work as volunteers abroad. Later, three women — Mary Fawcett, Jean Perry and Belle Menzies — worked for many years as volunteers in the Busan region, educating local women and children, and in orphanages in Seoul. Many homeless, orphaned and disabled girls came under the care of these volunteers, saving them from destitution, slavery and prostitution. With other Australian women volunteers, they established schools and trained local women to become teachers and social and religious leaders.
Many other Australian women volunteered as professional doctors and nurses, treating patients and training local people in modern medicine. Among them were Helen and Catherine Mackenzie, Barbara Martin and Jessie McLaren, whose stories are told elsewhere in this book.
Thanks to Dr David Kim, Honorary Lecturer at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d Associate Professor at Kookmin University, for original text.
초기 여성 자원봉사자 중에는 지역 최초의 현대적 교육 기관인 의신여학교를 마산에 세우고 40여 명의 젊은 여성을 해외 봉사활동에 보낸 장로교 여전도회 연합회(Presbyterian Women’s Missionary Union)를 설립한 메리 데이비스(Mary Davies, 1853~1941)도 있었다. 이후 메리 포셋(Mary Fawcett), 장 페리(Jean Perry), 벨레 멘지스 이렇게 세 명의 여성은 수년간 부산에서 현지 여성 및 아이들을 교육시키고 서울의 고아원에서 봉사활동을 했다. 집 없고 부모 잃은, 그리고 장애를 가진 여아들을 위해 일하며 이 아이들이 빈곤이나 종살이, 성매매에 빠지지 않도록 도움을 주었다. 다른 호주 여성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이들은 학교를 세우고 현지 여성들을 교사, 사회 및 종교 지도자로 양성했다.
다른 많은 호주 여성들도 의사, 간호사로 환자를 보살피고 현대 의학 기술을 전파했다. 그 중에는 헬렌 맥켄지(Helen Mackenzie), 캐서린 맥켄지(Catherine Mackenzie), 바바라 마틴(Barbara Martin), 제시 맥라렌(Jessie McLaren) 등 이 책에 소개된 여성들도 포함된다.
글을 제공해 주신 데이비드 김(David Kim)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명예 강연자 겸 국민대학교 부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For many of these women volunteers, their work represented a long-term commitment to improving the life of the poor in Korea.
이러한 여성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은 한국 빈곤층의 삶을 개선시키기 위한 오랜 헌신이었다.
GEORGE ROSE
조지 로즈
George Rose was born in 1861 in Clunes, a small goldmining town in Victoria. A gifted professional photographer with a prodigious output, he travelled widely, lugging his cumbersome equipment into remote countryside, up mountains and through crowded cities.
When Rose visited Korea in 1904, the country was in the throes of rapid and sweeping change. The Russo-Japanese War was being fought in Manchuria, and in February that year Korea was officially annexed as a Japanese protectorate. With Korea now in the international news, Rose saw an opportunity to respond to growing interest in this little-known country by offering vivid visual depictions of ordinary life in the form of stereographs – pictures taken using a camera equipped with dual lenses to create a pair of images. When seen through a special viewer, the two images produced a dramatic three-dimensional effect. In the late 1800s and early 1900s, stereographs were enormously popular, filling the role that television plays in everyday life today.
조지 로즈는 1861년 호주 빅토리아주의 작은 광산 마을 클룬즈에서 태어난 전문 사진작가로, 무거운 장비를 짊어지고 외딴 시골, 산악 지대와 북적이는 도시를 여행하며 멋진 사진 작품을 만들어냈다.
1904년 그가 한국을 처음 방문했을 때 한국에는 거센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었다. 만주에서 러일전쟁이 치러지고 있었고, 그 해 2월 한국은 일본에 병합되었다. 당시 한국이 국제 뉴스에 등장하고 한국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조지는 듀얼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로 이미지 한 쌍을 촬영하는 방식인 입체 사진을 통해 잘 알려지지 않은 이 나라의 일상적인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자 했다. 확대 투시 장치를 통해 보는 두 개의 이미지는 3차원적인 입체감을 연출했다. 1800년대 말에서 1900년대 초 사이에 입체 사진은 엄청난 인기를 끌었고 오늘날의 TV와 같은 역할을 했다.
As Rose travelled from one end of the country to the other, he succeeded in capturing both the traditional and changing aspects of Korean life. “One must not overlook those evidences of newer civilisation,” he said, describing a photograph that showed some elements of modernisation. At that time, he already had more than 25 years’ experience behind the camera, bringing a high degree of professional expertise and an artistic eye. His photographs are full of vitality and spontaneity, capturing moments in time depicting ordinary people busy in their own lives.
The resulting images are not only aesthetically pleasing; Rose also often recorded the context in some detail on the back, enabling viewers to understand what they were looking at. In this sense, his photographs provide an immensely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historical record, allowing the contemporary viewer to picture what life was like in Korea more than a hundred years ago.
조지는 한국을 횡단하며 한국의 전통적인 모습과 변화하는 모습을 동시에 담아냈다. 한국의 현대화를 보여주는 사진을 가리키며 그는 “새로운 문명의 증거를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라고 말했다. 당시 25년이 넘는 사진 경력을 가졌던 그는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예술적 시각을 함께 보여줬다. 조지의 사진은 생생함과 자연스러움으로 가득하며 일상생활을 바쁘게 살아가고 있던 당시의 한국인들을 잘 보여준다.
그의 사진은 심미적으로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사진 뒷면에 피사체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누구든지 사진 속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이로써 그의 사진은 귀중한 역사적 기록일 뿐만 아니라 100여 년 전 한국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창의 역할을 하고 있다.
His photographs are full of vitality and spontaneity, capturing moments in time depicting ordinary people busy in their own lives.
조지의 사진은 생생함과 자연스러움으로 가득하며 일상생활을 바쁘게 살아가고 있던 당시의 한국인들을 잘 보여준다.
OLWYN GREEN
올윈 그린
Olwyn Green was born in 1923 in a small town on the North Coast of New South Wales. The family was not well off, and Olwyn was obliged to leave school at the age of 13 to work in her father’s shop. But as her younger brother Robert recalled, “at least one good thing came of Olwyn’s working in our shop – the appearance of a tall, quiet, handsome young man from a nearby town. His name was Charlie Green.”
Olwyn and Charlie were married in 1943 while Charlie was on leave from the Second World War. He rejoined the army in 1949, and a year later was appointed commander of the Australian contingent of soldiers bound for Korea under the United Nations flag.
Towards the end of 1950, news reached Olwyn that Charlie had been seriously wounded, and he died a short time later. Olwyn and her daughter Anthea moved to Sydney with her mother and brother Robert, where she worked and studied, gaining a BA at Sydney University.
올윈 그린은 1923년 뉴사우스웨일즈 노스코스트에 위치한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넉넉하지 못한 형편에 13살 때 학교를 중퇴하고 아버지의 가게에서 일을 해야 했다. 하지만 남동생 로버트(Robert)는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누나가 가게에서 일을 하면서 적어도 한 가지 좋은 일이 있었어요. 이웃 마을에서 온 잘생기고 키도 크고 조용한 성격의 젊은 남자를 만나게 된 것이었죠. 그 남자의 이름은 찰리 그린(Charlie Green)이었어요.”
올윈과 찰리는 1943년 결혼했는데, 당시 찰리는 제2차 세계대전 참전 중 휴가를 나온 상태였다. 그는 1949년 군대로 돌아갔고, 1년 후 유엔 깃발 아래 한국으로 파견된 호주군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1950년 말경 올윈은 찰리가 심각한 부상을 당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그 후 올윈은 딸 앤시아(Anthea), 어머니, 남동생 로버트와 함께 시드니로 이주하여 일과 공부를 병행하였고 시드니대학교(Sydney University)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Driven by her desire to know her husband’s full story, Olwyn researched and wrote The Name’s Still Charlie – Lieutenant Colonel Charles Green DSO – A Biography of an Infantry Commander. The book was published in 1993, when Olwyn was 70. Further research on the Korean War, for which she received a small grant from the Australia-Korea Foundation (AKF), resulted in an extensive and historically significant collection of material, including interviews with numerous veterans, photographs and letters. The collection, Witnesses to the Korean War, was formally lodged with the Australian War Memorial in 2003, when Olwyn was 80.
Olwyn’s achievements earned her widespread honour and respect in both Australia and Korea. In 2006, at the age of 83, she was awarded the Medal of the Order of Australia.
Anthea describes her mother as “an exotic mix of fierce intelligence, strength and fragility, courage and fear, determination and hesitation, passion, humour, forthrightness and the love of connectedness”, while Olwyn’s grandson Pip recalls her as “a lover of food and conversation, with a rapacious mind that was always hungry for deeper meaning and understanding”.
Thanks to Anthea Green for original text and photos.
남편의 일생을 전부 알고 싶었던 올윈은 다양한 자료를 조사한 후 ‘그대 이름은 아직도 찰리 – 찰리 그린 중령 – 한 보병 지휘관의 전기(역자 주: 역자가 번역한 제목으로, 공식 출판된 국문본은 없음, 원제: The Name’s Still Charlie – Lieutenant Colonel Charles Green DSO – A Biography of an Infantry Commander)’라는 제목의 책을 집필했다. 이 책은 올윈이 70세였던 1993년 발간되었다. 올윈은 호한재단(Australia-Korea Foundation)으로부터 소액의 지원금을 받아 한국전쟁 관련 추가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수많은 참전용사들과의 인터뷰, 사진, 편지 등이 수록된 광범위하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집이 탄생하였다. ‘한국전쟁의 증인들(역자 주: 역자가 번역한 제목으로, 공식 출판된 국문본은 없음, 원제: Witnesses to the Korean War)’이라는 제목의 이 자료집은 올윈이 80세였던 2003년 호주 전쟁기념관(Australian War Memorial)에 공식 보관되었다.
이와 같은 업적으로 올윈은 호주와 한국에서 존경받고 있다. 83세였던 2006년에는 호주 훈장(Medal of the Order of Australia)을 받았다.
앤시아는 어머니를 “맹렬한 지성, 강인함과 나약함, 용기와 두려움, 결단력과 망설임, 열정, 유머, 솔직함, 유대감을 두루 갖춘 이”로 묘사하며, 올윈의 손자인 핍(Pip)은 할머니를 “음식과 대화를 사랑하며 항상 보다 깊은 의미와 이해를 갈구하는 이”로 기억한다.
자료를 제공해 주신 앤시아 그린 님께 감사드립니다.
Olwyn’s achievements earned her widespread honour and respect in both Australia and Korea.
이와 같은 업적으로 올윈은 호주와 한국에서 존경받고 있다.
YUNG KIL CHOI
최영길
OAM
Yung Kil Choi was a starving young North Korean boy when he was found and adopted by the soldiers of 3rd Battalion,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3RAR), in 1950. Eighteen years later, he and his family were among Australia’s first Korean immigrants.
During the retreat after the battle of Pakchon, scouts found the freezing 16-year-old searching for food among dead North Korean soldiers. He was taken back to field headquarters, where the Australian soldiers cared for him. After he recovered, Yung decided to stay with the battalion because “I could see that I was needed”. He stayed and worked in the Regimental Aid Post until the end of the war, earning the respect, gratitude and friendship of the battalion.
최영길 씨는 한국전쟁 당시 북한 출신의 굶주린 소년이었다. 1950년 호주 왕립 연대 제3대대(3rd Battalion,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3RAR) 병사들이 그를 발견하고 돌봐주었다. 18년 후, 최 씨와 그의 가족은 호주 공식이민 한국인 1호가 되었다.
박천전투가 끝나고 철수하던 중, 호주 정찰병들이 추위에 떨며 북한군 시체에서 먹을 것을 뒤지고 있던 16세 소년 최 씨를 발견했다. 호주군은 그를 야전사령부로 데리고 와 돌봐주었다. 최 씨는 몸을 회복한 후에도 ‘내가 이곳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부대에 계속 남기로 결심했다. 전쟁이 끝날 때까지 야전 응급치료소에서 일하며 부대의 신임과 존경을 받고 병사들과 우정을 쌓았다.
After the war, Yung’s Australian comrades established a fund for his education, and he graduated from Seoul University with a degree in economics. In the mid 1960s he made contact with former 3RAR colleagues, and in 1968 the battalion sponsored Yung and his wife and daughter as immigrants. He and his family settled in Sydney, and a year later he was made an honorary member of 3RAR in recognition of his war service. For many years he worked with Qantas as a senior budget forecaster, while in his spare time he helped many Korean migrants settle into life in Sydney.
Yung Kil Choi was the founding President of the Korea and South-East Asia Forces Association of Australia, and he marched with the association every Anzac Day. He was awarded the Order of Australia Medal (OAM) in 1989 for his service to the Korean community in Australia, and in 1990 he was the first recipient of the Medal of the Republic of South Korea, South Korea’s highest award to an ex-patriot, for his contribution to the goodwill between both countries.
When Yung died in 2007, his funeral was attended by hundreds of people from the Korean community and former members of 3RAR.
Thanks to Elise Horspool, Australian War Memorial, and Jenny Goodfellow MacRitchie, Sydney Morning Herald, 10 May 2007, for original source material.
한국전쟁이 끝난 후 호주군에서 최 씨의 학업을 위한 장학금을 마련해 주었고, 덕분에 최 씨는 연세대 상대를 졸업했다. 1960년대 중반 그는 제3대대 전우들에게 연락을 취했고, 1968년 제3대대에서는 그와 아내, 딸의 호주 이민을 후원해주었다. 최 씨 가족은 시드니에 정착했고, 1년 후 최 씨는 전쟁 당시의 공로를 인정받아 제3대대의 명예부대원이 되었다. 수년 동안 콴타스항공(Qantas) 기획실에서 근무하면서 시간이 날 때마다 한국 이민자들이 시드니에 정착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했다.
또한 주호주 한국 및 동남아 참전협회(Korea and South-East Asia Forces Association of Australia) 초대회장으로 활동하며 매년 안작 데이(Anzac Day, 역자 주: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갈리폴리 전투에 참여했던 호주·뉴질랜드 연합군을 추모하는 날)에는 참전협회와 함께 행진에 참여했다. 1989년 호주 한인사회의 발전에 헌신한 공로로 호주 훈장(Order of Australia Medal, OAM)을 받았고, 1990년에는 한국, 호주 양국 간 친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에서 국외 거주자에게 수여하는 최고 등급 훈장의 첫 수훈자가 되었다.
최 씨는 2007년 세상을 떠났다. 그의 장례식에는 한인사회 구성원 수백 명과 제3대대의 전직 부대원들이 참석했다.
원본 출처 자료를 제공해주신 호주 전쟁기념관(Australian War Memorial)의 엘리스 호스풀(Elise Horspool) 님, 시드니 모닝 헤럴드(Sydney Morning Herald, 2007년 5월 10일자 기사)의 제니 굿펠로우 맥리치(Jenny Goodfellow MacRitchie) 님께 감사드립니다.
Yung Kil Choi was the first recipient of the Medal of the Republic of South Korea for his contribution to the goodwill between both countries.
최영길 씨는 한국, 호주 양국 간 친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에서 수여하는 최고 등급 훈장의 첫 수훈자가 되었다.
Rear Admiral IAN CRAWFORD
이안 크로포드
AO, AM (Mil), RAN (Retired), Royal Australian Navy veteran
Rear Admiral Ian Crawford’s long and distinguished career in the Royal Australian Navy began in 1949 at the age of 17 and involved many sea and shore postings, including to London, Paris and Washington DC. He went on to serve for 40 years, finally retiring at the age of 57.
Soon after joining the RAN, young Midshipman Crawford was appointed to HMS Ceylon, the flagship of the East Indies Fleet, based in Trincomalee, Sri Lanka.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on 25 June 1950, HMS Ceylon was diverted to Korea. Ceylon then served in operations to evacuate isolated United Nations Command forces and provide gunfire support behind the advancing Communist line. They were very challenging times, aggravated by the hostile winter weather.”
In later years Rear Admiral Crawford was determined that the Korean War and the 17,000 Australians who served in Korea would never be forgotten.
이안 크로포드 호주 예비역 해군 제독은 1949년 17세의 나이에 호주 해군에 입대하여 많은 함대와 런던, 파리, 워싱턴DC 등 해외 기지에서 복무했다. 그는 57세가 되던 해 40년간의 군 생활을 마치고 퇴역했다.
호주 해군에 입대하자마자, 해군사관생도 졸업생인 크로포드 제독은 스리랑카 트링코말리를 기지로 둔 동인도 함대 기함 HMS 실린호(HMS Ceylon)를 맡게 되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HMS 실린호는 한국으로 배치되었습니다. 실린호는 고립된 유엔군을 탈출시키는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공산군의 남하를 막기 위한 함포 사격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너무나 어려운 작전이었어요. 특히나 살을 에는 추위로 인해 더욱 힘들었습니다.”
크로포드 제독은 한국전쟁, 그리고 17,000명의 호주 참전용사들이 결코 잊혀져서는 안 된다는 다짐을 했다.
“I initiated a project to construct an Australian National Korean War Memorial on Anzac Parade, Canberra. The memorial was dedicated in a national ceremony in 2000, in the presence of His Excellency the Governor General, the Prime Minister of Australia, and a contingent of distinguished political and military officers from the ROK. For this achievement, I was awarded the Order of Diplomatic Service Merit ― Sungrye Medal, by the President of the ROK.”
As Chairman of the Australian National Korean War Memorial Committee and National President of the Australian Veterans and Defence Service Council for a number of years, Rear Admiral Crawford was also responsible for progressing other projects, in cooperation with Korean government agencies, to honour and commemorate those who served in the Korean War, including facilitating approval for Australian veterans to wear the ROK’s Korean War Service Medal in recognition of their contribution.
In 2002, Rear Admiral Crawford was awarded the Order of Australia (AO) in recognition of his services to Australian veterans of the Korean War.
“저는 캔버라의 안작 퍼레이드(Anzac Parade)에 한국전 참전비(Australian National Korean War Memorial)를 건립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주도했습니다. 2000년에 이 참전비는 당시 호주 총독, 총리 그리고 한국의 정치인 및 군 장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호주 국립전쟁기념관에 기증되었지요. 이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저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수여하는 수교훈장 숭례장을 받기도 했습니다.”
수년간 호주 국립 한국전쟁기념관 위원회(Australian National Korean War Memorial Committee) 위원장 및 호주 참전용사 및 국방 서비스 협의회(Australian Veterans and Defence Service Council) 대표를 맡았던 크로포드 제독은 한국 정부기구와 협력하여 호주 참전용사의 한국전 참전 훈장 수훈 절차를 담당하는 등 한국전 참전용사들을 기리고 기념하는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2002년에는 호주 한국전 참전용사들을 위한 공로를 인정받아 호주 국가 훈장(Order of Australia)을 받았다.
“I was determined that the Korean War and the 17,000 Australians who served in the war would never be forgotten.”
“한국전쟁, 그리고 17,000명의 호주 참전용사들이 결코 잊혀져서는 안 된다는 다짐을 했습니다.”
Dr. BARBARA MARTIN
바바라 마틴
Born in 1933 in Melbourne, Dr Barbara Martin spent over 30 years in Korea practising and teaching medical staff in obstetrics and gynaecology at Ilsin Women’s Hospital.
Working as a medical missionary was central to Barbara’s plans, and after studying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Melbourne and Obstetrics and Gynaecology at Queen Victoria Hospital, she travelled to Korea in January 1964 to replace Dr Helen McKenzie at Ilsin Women’s Hospital, while Helen was on furlough for a year. She soon settled in, and with her warm and friendly personality, dedication and commitment, she quickly gained the affection and respect of the other hospital staff. When she was offered a long-termed position, Barbara decided to accept ― much to everyone’s relief.
She remembers the early years as a period of intense learning. Many of the obstetric problems and complications prevalent in Korea, such as eclampsia, were due to the lack of antenatal care or access to proper maternal healthcare, as well as late diagnosis. Her interest in Trophoblastic Disease (TD) among Korean women resulted in the opening of a dedicated TD clinic, one of only two centres in the country.
1933년 멜버른에서 태어난 바바라 마틴 박사는 30년 넘게 한국에 머물며 일신부인병원에서 산부인과 의사 겸 교수로 일했다.
마틴 박사의 원래 계획은 의료선교사로 일하는 것이었다. 멜버른대학교(University of Melbourne)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퀸 빅토리아 병원(Queen Victoria Hospital)에서 산부인과 수련의 과정을 마친 후 1964년 1월 한국으로 건너와, 일신부인병원에서 헬렌 맥켄지(Helen McKenzie) 박사의 1년 휴가 대체 인력으로 근무했다. 마틴 박사는 새로운 환경에 이내 적응하였고, 따뜻하고 친절한 성격, 헌신적인 근무 태도로 금세 다른 의료진의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 장기 근무 계약 제안이 들어오자 마틴 박사는 수락하기로 결정했고, 병원 가족 모두가 이 소식에 기뻐했다.
마틴 박사는 이 병원에서의 처음 몇 년을 배움에 집중했던 시간으로 기억하고 있다. 임신중독증을 비롯하여 당시 한국에 만연했던 산과적 문제와 합병증은 대부분 산전 관리 또는 산모 의료 서비스의 부족, 늦은 진단이 원인이었다. 마틴 박사는 한국 여성들의 임신성 융모성 질환에 특히 관심을 가졌고, 그 결과 이 질환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병원이 문을 열게 되었다. 한국의 융모성 질환 전문 병원은 이 병원을 포함해 두 곳뿐이다.
Undoubtedly one of Barbara’s greatest achievements during her many years in Korea was teaching and training generations of specialist doctors and midwives. They remember her as a warm but strict and meticulous professor, who insisted on placing the health of the patients above all.
Reflecting on her time in Korea, Barbara acknowledges that working at Ilsin Women’s Hospital enabled her to gain valuable experience that she could then take to help people in many other parts of the world.
“I am grateful to my Korean colleagues for their acceptance of me as a staff member of Ilsin and as a member of the Obstetric and Gynaecology Association, as well as acceptance by broader Korean society. I always feel that I received so much more than I ever gave, and I know my fellow missionaries feel the same.”
Thanks to Dr Hea-Jin Park for original text and images.
마틴 박사가 한국에 있는 동안 이룬 가장 큰 업적은 바로 수 세대의 전문의와 조산사를 배출한 것이었다. 이들은 모두 마틴 박사를 항상 환자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했던 따뜻하지만 엄하고 철두철미한 스승으로 기억하고 있다.
마틴 박사는 한국에서 보낸 시간을 회상하며, 일신부인병원에서 근무한 것이 소중한 경험이었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각지에서 사람들을 도울 수 있게 되었다고 이야기한다.
“저는 일신부인병원 의료진의 일원으로, 그리고 산부인과학회 회원으로 저를 받아준 한국 동료들에게 감사하며, 나아가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저를 받아준 한국 분들께도 감사합니다. 저는 한국에서 베푼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받았고, 동료 선교사들도 분명 저와 같은 생각일 거예요.”
글을 제공해 주신 박혜진(Hea-Jin Park)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I always feel that I received so much more than I ever gave, and I know my fellow missionaries feel the same.”
“저는 한국에서 베푼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받았고, 동료 선교사들도 분명 저와 같은 생각일 거예요.”